[진행중] 제주 오름 28

[오름] ㄷ 으로 시작하는 오름 5개 (2)

(1) 28.큰 다랑쉬오름 29.아끈다랑쉬오름 30.단산 31.당산봉 32.당오름(송당) 33.대록산 34. 대수산봉 35. 대왕산(큰왕메) 36.도두봉 37.독자봉 (2) 38.돌오름 39.동거미오름 40.돝오름 41.둔지봉 42.따라비오름* 10개까지는 (1)에, 11개부터는 (2)에 기록하였음 38 [ 돌오름  866.5m ]  한라산 둘레길 2구간 안에 있다.  - 간 날: 21. 11. 13 - 추천: ★★★ ( 길이 꽤 가파르고, 찾기 어렵진않으나 잘 되어있진 않다. )     한라산 둘레길 2구간 이름이 돌오름 구간이다.  보림 농장 삼거리에서 2.1km쯤 가면 돌오름으로 가는 리본이 있고 그 길을 따라 오르막을 오르다 보면 정상이 나온다. 정상 표시판 건너편에  눈 모자를 쓴 한라산이 선명..

[오름] ㅅ으로 시작하는 오름 6개 (2)

70.사라봉 71.사라오름 72.새별오름 73.서우봉 74.설오름 75.섯알오름 76.세미오름 77.셋개오리오름 78.소왕산 79.손지오름 80. 사려니오름(2) 81.솔오름(미악산) 82.송악산 83.수산봉 84.수월봉 85.시오름 86.식산봉*11개는(1)에 12개부터는 (2)에 기록하고, 밑줄친 오름은 개별 기록했다.  81 [ 솔오름=미악산 565.7m ] 서귀포시 동흥동 - 간 날: 23. 2. 21일 화요일- 추천:  ★★★★★ !!(길찾기 쉽고 길과 정상뷰가 매우 좋다)  산 모양이 쌀을 쌓아 올린 모양이라고 해서 솔오름(솔은 쌀의 옛말) 그래서 한자로 미악산이라고도 한다.한라산 돈내코를 가기위해 가는 1115번 도로(산록남로) 길가에 출입구와 주차장(넓다)이 있다.         82 [ ..

[오름] ㄱ 으로 시작하는 오름 5개 (2)

>1.가친오름 2.갑선이오름 3.개오름 4.개오리오름 5.거린사슴오름 6.거문오름 7.거슨세미오름 8.거친오름 9.걸리오름 10.고근산 (2) 11.광이오름 12.군산 13.궁대악 14.궷물오름 15.금오름 10개까지 (1)에 11개 부터는(2)에 기록한다 11 [ 광이오름=괭이오름  266.8m ] 제주시 연동, 한라수목원 안에 있다- 간 날: 21. 11. 12- 추천: ★★★★★( 산책 길이 아주 좋고 수목원이라 식물 공부도 할 수 있다. ) 1993년에 문을 연 한라수목원은 잘 가꾸어져 있는 자연 학습장이자 관광지이다. 산책길을 따라가다 보면 수목원의 가장 높은 곳에 광이오름이 있다. 아마 제주시민이 제일 많이 찾는 운동겸 산책길인듯하다.  정상까지는 길이 아주 좋아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는데 정..

[오름] ㅂ으로 시작하는 오름 8개 (2)

(1) 52.바농오름 53.(큰)바리메오름 54.(족은)바리메오름 55.밧돌오름 56.밧세미오름 57.백약이오름 58.번널오름 59.법정악 60.베릿내오름 61.별도봉(2) 62.병곳오름 63.(대)병악오름 64.(소)병악오름 65.본지오름 66.북오름 67.붉은오름 68.비양봉 69.비치미오름 10개 까지는 (1)에, 11개부터는 (2)에 기록하고, 밑줄친 오름은 개별기록 62 [ 병곳오름 288.1m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간 날: 23. 2.15 - 추천: ★★★★(입구만 잘 찾으면 길도 좋고 정상뷰도 좋다)     애매한 갈림길이 나타났는데 표시가 없다. 그래서 제일 좋은 길로 갔는데 그곳은 묘지로 가는 길이었고, 그냥 그쪽으로 없는 길을 뚫고 올라갔다. 내려올 때는 잘 나있는길로 오니 아랫..

[오름] ㅇ로 시작하는 오름 8개 (2)

87.아부오름 88.안돌오름 89.안세미오름 90.알밤오름 91.어승생오름 92.여문영아리오름 93.여절악 94.영주산 95.영천악 96.왕이메오름(2) 97.우진제비오름 98.웃밤오름 99.원당봉 100.유건에오름 101.은다리(은월)오름 102.이달봉 103.이달이촛대봉 104.이승이오름 105. 용눈이오름 * 10개는(1)에 11개부터는 (2)에 기록하고, 밑줄친 오름은 개별 기록했다. 97 [ 우진제비오름  411.7m ]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 간 날: 22. 4. 21- 추천: ★★★★(초입 찾기가 안 좋지만, 걷는 동안의 분위기가 좋다.)  우진제비 오름은 오름 일대가 마소를 방목하기 좋았으며, 굼부리 안쪽은 마소를 임시로 가두어 놓기에도 적당하여 우진(牛鎭)이라 하였고 오름의 모양이 제비..

[오름] 거문오름 456.6m

- 간 날: 22. 4. 4 월요일 - 위치: 제주시 조천읍 선교리 - 추천: ★★★★ (오성급이나 예약해야 하고 볼 시간이 정해져 있고 해설사를 따라다녀야 하는 게 안 좋아 별 하나 뺐다.)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 제444호(2005.01.06),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등재(2007년 7월 2일)된 검은 오름은 예약을 해야만 가 볼 수 있는 오름이다. 숲으로 덮여 검게 보인다 하여 '검은오름'이라 부르고 있으나, 학자들의 어원적 해석으로는 `검은`은 神이란 뜻으로 `검은 오름`은 `신령스러운 산`이라는 뜻이다. 해발 456m의 복합형 화산체인 거문오름으로부터 흘러나온 용암류가 지형 경사를 따라 북동쪽의 방향으로 해안선까지 도달하면서 20여 개의 동굴 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용암동굴계 중에서 벵뒤굴..

[오름] 오름이란

제주도는 백만 년 전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섬이다. 화산은 수만 년 동안 계속 폭발했는데 그렇게 계속해서 폭발로 나온 용암이 솟아오르고 쌓이면서 오름(기생화산)이 되었다고 한다. 오름의 80% 이상은 완만하게 쌓여 만들어진 '분석구'이고, 바다나 물을 만나 격렬하게 폭발하여 만들어진 '수성화산'(송악산, 수월봉, 성산일출 등) 그리고  점성이 높은 용암이 흐르지 않고 쌓여서 만들어진 '용암돔=종상 화산'(산방산)이 있다. 제주도 탄생 설화에는 여신 설문대 할망이 제주도 한가운데에 한라산을 높이 쌓으려고 치마로 육지의 흙을 퍼담았는데 할망의 치마폭 사이에서 땅으로 떨어진 부스러기 흙덩이가 오름이 되었다고 구전하고 있다.  제주에는 수많은 오름들이 있고 불리는 방식도 다양하다.오름의 형식 또는 생김새에 따라..

[오름 71] 사라 오름 1,324m

간 날: 21. 11. 4/ 22. 4. 20위치: 한라산 성판악 코스에 있다추천: ★★★★★ !!!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오름은 아니지만 산정호수를 품고 있어 신비함을 느끼게 한다. 안내표시판으로 보면 성판악에서 사라오름 정상까지는 편도 6.4km로 2~3시간이 소요되고 사라오름 입구부터 정상까지는 왕복 40분 소요된다고 나온다. 성판악에서 백록담 등산로 중 진달래대피소 전에 왼쪽으로 오름으로 가는 길 안내판이 있다. 가파른 계단을 한참 오르다 언제 나오나 싶을 때쯤 산정호수를 만나면 와~소리가 절로 나온다. 대부분은 물이 없지만 비가 많이 온 후나 봄에 눈 녹은 물이 차 있을 때가 있다. 물이 없는 오름도 예쁘지만 기회가 되면 물 있는 산정호수를 꼭! 보고 싶다.   22년 4월, 한달살이 하러 들어..

[오름] ㅇ 으로 시작하는 오름 10개 (1)

87.아부오름 88.안돌오름 89.안세미오름 90.알밤오름 91.어승생오름 92.여문영아리오름 93.여절악 94.영주산 95.영천악 96.왕이메오름(2) 97.우진제비오름 98.웃밤오름 99.원당봉 100.유건에오름 101.은다리(은월)오름 102.이달봉 103.이달이촛대봉 104.이승이오름  105. 용눈이오름  87[ 아부오름 301.4m ]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간 날: 22. 4.  9- 추천: ★★★★★(오르기 쉽고 길과 전망이 좋다) 앞오름, 압오름등으로 부르던 것이 '아부오름'이 되었다고 하고, 넓은 분화구가 믿음직한 어른과 같다고 해서 '아부'( 존경스러운 어른을 부르는 제주 말)가 되었다고도 한다. 80세 할머니도 오른다는 오름 초초보 코스^^주차장은 아주 넓진않으나 잘 되어있고 주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