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74

제주 자연생태공원

* 간 날: 23년 2월 24일, 28일, 3월 6일 * 위치: 서귀포시 성산읍 금백조로 446구(성산읍 수산리 4711-1) 10:00~17:00 이용 가능 제주 한 달살이동안 손님들이 왔는데, 애가 있거나 걷기 싫어하는 사람에겐 딱 좋은 곳이다. 공원 안에는 '궁대악'이라는 높지 않은 오름도 있어서 적당히 걷고 싶은 사람에게도 좋다. 이 좋은 곳에 왜 이리 사람이없는지 안타깝다. 누구에게나 추천해 주고 싶은 곳이다. 이곳 막사에 있는 생명들은 다치거나 아파서, 자연계로 나가면 살지 못하는 아이들이다. 동물원이 아니라 요양원이랄까... 배운점:) 우리가 독수리라고 부르는 것은 수리 중 머리에 털이 없는 수리를 부르는 이름이다. '독=대머리'라는 뜻이란다. 수리는 살아있는 먹이를 잡아먹고, 독수리는 죽은..

제주도 2023.03.19

산천단

* 간 날: 23년 3월 4일 일요일 * 위치: 제주시 아라일동 375-4 한라산 등반을 하고 내려올 때마다 궁금했던 곳. 어리목으로 등반하고 오니 시간이 조금 여유있어서 가보기로 했다. 옛날엔 한라산신제를 매년 백록담에서 지냈는데 너무 춥고 힘들어 죽는 사고가 많이 나자 1470년 제주목사 이약동이 백성들의 희생을 덜고자 이곳에 산천단을 만들고 제사를 지내게 했다고 한다.

제주도 2023.03.19

섭지코지

* 간 날: 23년 3월 4일 일요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에 있는 해안 지형. 섭지란 재사(才士)가 많이 배출되는 지세란 뜻이며 코지는 곶을 뜻하는 제주어로, 본래 섭지코지는 반도 끄트머리의 해안 절벽만을 가리켰으나 어쩌다 보니 반도 전체로 이름이 확장된 셈. 2003년 드라마 '올인 의 대히트 후 전국구 관광지가 되었다. 원래 있던 올인 세트장은 태풍 매미로 망가져 2005년에 새로 지어진 테마박물관 겸 관광명소인 올인하우스가 있었으나 2014년 11월 리모델링을 하면서 컨텐츠를 완전히 바꿔 주변 풍광과 어울리지 않는 동화틱한 과자집 외형에 이름도 코지하우스로 바뀌었다. 끝부분에는 등대가 있으며, 일본인 건축가인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건축물 유민미술관과 글라스 하우스가 있다. 성산일출봉을 한 눈에 볼..

제주도 2023.03.19

[등산] 어리목~윗세오름~윗세족은오름~어리목

* 간 날: 23년 3월 5일 일요일 * 코스: 어리목~윗세오름~ 윗세족은오름~윗세오름~어리목, 10.9km 제주 한 달살이중 손님이 왔다. 손님 대접은 등산으로~ㅋㅋㅋ 공사가 끝나 화장실 옆으로 쉼터가 하나 생겼지만, 날씨가 좋으니 바깥 계단에서 가져온 샌드위치와 감자로 요기를 했다. 까마귀에게 음식을 주지 말라는 플랑카드가 걸려있는데, 곁에 와서 먹는걸 쳐다보고 있으니 좀 그렇다 ㅜㅜ

제주도 2023.03.19

[걷기] 한라산둘레길 6구간, 시험림길

* 걸은 날: 24년 10월 16일 수요일* 코스: '한라산둘레길' 버스정류장~수악길일부~시험림길~사려니숲길 일부~사려니숲길(비자림로) 입구~교래 입구 버스정류장-한라산둘레길 버스정류장 / 9.4+11.2= 20.6km ※ 시험림길은 일부 구간이 난아열대산림연구소 구역에 포함되고 있어서 산불조심 기간 (11월 1일 ~ 12월 31일, 1월 1일 ~ 5월 15일)은 통제가 이뤄집니다.※ 개방기간 : 2022.5월 16일 ~ 10월 31일: 매년 약간의 차이가 있으니 꼭 확인하고 갈 것.  23년에 생긴 '시험림길'은 입출구가 도로와 멀어서 찾아가기 힘든 구간이다. 시험림 직원에게 물어보니 사려니숲길로 들어와 왕복하라고 한다. 그럼 거의 30km를 걸어야 한다ㅠㅠ  현지 친구의 조언을 얻어 버스를 이용하기로..

[도보] 한라산둘레길 5구간, 수악길

* 걸은 날: 23년 2월 21일 화요일 * 코스: 돈내코 탐방로~산정화구~5.16도로~이승악, 11.5km 수악길은 돈내코 탐방로에서 이승악 사이 11.5km의 구간으로 물오름(수악), 보리오름, 이승이오름 등이 분포하고 있다. 수악길 중간에 있는 신례천은 한라산 사라오름 남동쪽에서 발원하여 보리오름 서쪽에서 합류하고 5ㆍ16도로의 수악교와 수악계곡을 거쳐 남원읍 신례리로 흐른다. 수악계곡은 5ㆍ16도로 건너편 선돌계곡과 함께 팔색조의 도래지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이승악 입출구에서는 대중교통이 없다. (홈피에 있는 설명) 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실 수 없으니 유의하시고, 이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물오름 쪽으로 가서 오름 정상을 올랐다가(오름 편에 있음) 14시 05분, 다시 이 곳으로 돌아와 길..

[도보] 한라산 둘레길 4구간, 동백길

간 날: 23년 2월 14일 화요일 코스: 무오법정사~시오름~돈내코 탐방소 동백길은 무오법정사에서 동쪽방향으로 돈내코 탐방로까지 이어지는 11.3km의 구간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의 성지였던 무오법정사와 4·3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주둔소, 화전민 터 등과 동백나무 및 편백나무 군락지, 법정이오름, 어점이오름, 시오름, 미악산, 강정천, 악근천 등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한라산 난대림지역의 대표적인 수종인 동백나무는 서귀포자연휴양림에서 5·16도로변까지 약 20km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우리나라 최대 군락지를 이루고 있다.(홈피에 있는 설명) 처음 한라산 둘레길을 시작했을 때, 4구간과 5구간은 입출구에 대한 접근이 쉽지않아 숙제로 남겨 뒀었다. 결국 현지 친구에게 신세를 지기로 했다. '무오 법정사 항..

[도보] 한라산 둘레길 전체 개요

한라산 둘레길은 해발 600~800m의 국유림 일대를 둘러싸고 있는 일제강점기 병참로(일명 하치마키 도로)와 임도, 표고버섯 재배지 운송로 등을 활용한 80km의 둘레길(환상의 숲길)을 말한다.  23년에 시험림길이 추가되어 총 9구간이 되었고 5구간부터 거리나 입출구점이 조금씩 달라졌다. * 밑줄 부분은 달라진 곳임 제 1구간: 천아숲길(천아숲길 입구~보림농장 삼거리 8.7km)제 2구간: 돌오름길(보림농장 삼거리~서귀포자연휴양림 입구 8km)제 3구간: 산림휴양길(서귀포자연휴양림 입구~무오법정사 입구 2.3km)제 4구간: 동백길(무오법정사 입구~돈내코탐방로 11.3km)제 5구간: 수악길(돈내코탐방로~이승악 11.5km)제 6구간: 시험림길(이승악~시험림길 삼거리 9.4km) : 5월 16일~10월..

[도보] 머체왓 숲길

간 날: 23년 2월 18일 토요일 코스: 안내센터~숲유치원~소롱콧길~머체왓길~안내센터, 10km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머체왓 숲길 입구는 큰 도로에서 바로 들어가므로 찾기가 매우 쉽다. 아주 유명관광지는 아니여서인지 주말인데도 사람이 많지는 않고, 주차장도 넓고 편하다. 입구엔 안내센터와 식당이 있다. 소롱콧길로 따라갔는데 '소룡의 사랑' 연못을 지나자 머체왓길을 만났다. 이상해서 보니 이곳은 두 길은 같음 방향이나 길이 다르다는걸 알고 바깥쪽 길을 걷기위해 다시 '숲 유치원'쪽으로 갔다. 고 한다. 현지 친구에게 물어봤다. 자기도 모른다고, 어머니께 여쭤보고 알려준 뜻. 그러니까 느쟁..

제주도 2023.03.17